How to find fulfilling work

쳇바퀴 같은 일터에서 벗어나는 법과 삶에서 성취감을 얻으며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여정

반응형

부동산 6

[부동산] 울산 지금이 매수 적기인가? (매물수로 체크하는 방법, 25년 5월)

매물은 매도인들의 심리를 나타내주는 수치입니다.누구나 돈을 벌고 싶기 때문에, 집값이 오른다고 하면 바로 내놓았던 매물을 거둬들이죠.한 가지 예로, 25년 조정지역해제가 됨에 따라 급격하게 가격이 상승한 서초구의 경우 2500개가 넘던 매물이 1400개 정도로 급격하게 감소하였습니다. 경상권의 주요지역 몇개를 살펴보고 울산은 지금 어떤 시기인지 판단해보겠습니다 1) 울산 ○ 매매 : 가격 상승, 매물 소폭감소 ○ 전세 : 가격 급등, 매물 급격한 하락 ○ 평당갭 : 전세 급등으로 평당갭 하락 중2) 울산 남구 ○ 매매 : 가격 보합, 매물 상승 ○ 전세 : 가격 상승, 매물 이미 없었는데 더 감소하는 중 ○ 평당갭 : 평당갭 하락 중 3) 부산 ○ 매매 : 가격 완만한 하락, 매물 상승..

부동산 2025.05.05

아파트의 저평가 여부 (평균전세가율 대비 GAP)

주식에서 저평가를 판단할 때 수익대비 시가총액이 얼마인지를 나타내주는 PER라는 지표가 있습니다(이익 - 근본, 시가총액 - 평가금액). PER는 주식 투자하는 사람들에서는 기초적인 지표입니다. PER를 계산할 때 근본인 이익과 평가금액인 시가총액을 보는 것처럼, 아파트에서는 근본(내재가치 또는 사용가치)인 전세가와 평가금액인 매매가로 치환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멀티플이라고 부르는데, 이익을 몇년간 모으면 시가총액에 도달하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이를 부동산에 적용할 경우 만약 매매가 5억원인 집에 전세가가 3억원이라면, 전세가율은 60%이고 이를 PER와 같이 전세가를 기준으로 표현하면 5억원/3억원 = 1.67배가 나옵니다. 주식의 업종별로 PER가 다른 것처럼 지역마다 전세가율이 다르며 서..

부동산 2025.05.04

벌집모형으로 본 울산 부동산 가격 (25년 5월)

벌집순환모형은 매매가격과 거래량 두 축으로 부동산 가격의 사이클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아래 링크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s://ddol2freedom.tistory.com/910 벌집순환모형 - 부동산 거래량과 가격의 상관관계 설명하는 이론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입니다.오늘은 부동산의 거래량과 가격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벌집순환모형(Honeycomb Cycl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공화국이라 불리는 대한민국ddol2freedom.tistory.com 이 벌집모형에 울산 부동산 가격을 넣어보았습니다.출처: 손품왕 상당히 높은 확률로 벌집 순환 모형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으며,현재는 가격의 하락은 멈추고,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는 ..

부동산 2025.05.03

금리와 통화량의 방향성에 대한 생각 (feat 집값)

금리는 통화량의 방향성을 정합니다. 늘어난 통화량은 갈 곳을 찾아 떠돌아 다닙니다. 통화량은 물과 같아서 흐름을 만들어주면 길을 따라 이동합니다.금리는 경기와 물가에 따라 움직입니다. 1차원 적으로 보면 다음의 흐름과 같이 움직입니다. [경기 → 물가 → 금리 → 통화량 → (갈곳을 찾다가) → 주식 또는 부동산] 25년 3월 현재 위 흐름대로 살펴보고 돈의 흐름이 어디로 갈지 생각해보겠습니다 1. 경기 & 내수 & 성장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제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야 합니다. 경제가 하락하게 되면 기업의 투자와 생산활동이 축소되며 사회적인 기능을 잃기 때문이죠. 따라서 경제성장이 하락하게 되면 정부는 기준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해야 하는 압박을 받게 됩니다. 또한 금리는 물가 상승률 ..

부동산 2025.03.20

[M2 광의통화] 감소 시나리오

부동산은 금융상품과 엮여지면서 통화량과 유동성의 영향을 받는 자산이 되었습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전세 대출이 생긴 2013년부터 더욱어 금융의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M2 (광의통화)는 지금까지 계속 상승했는데 (2023년 4, 5월 소폭감소), 이에 맞춰 서울의 매매가도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거의 큰 통화량의 조정이 없었던 한국과는 달리 미국의 경우 코로나 이후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어느정도 조정을 했다가 다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이번엔 M2의 감소 시나리오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M2 감소 시나리오 통화 긴축 정책: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는 경우, 통화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경제 활동 위축: 경기 침체로 인해 기업..

부동산 2025.03.17

울산에서 적정 가격에 근접한 아파트 찾기: 명촌 강변효성해링턴

오늘은 울산에서 적정 가격에 근접한 아파트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적정 가격'이란 사용가치인 전세가와 역대 평균 전세가율 (전세가율을 역수로 하면 멀티플이 됨)을 반영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파트 적정가격을 계산하는 방법! (아파트, 이 가격 오면 사라)에서 다루었습니다. 오늘은 적정 가치에 근접한 아파트 중 하나인 강변효성해링턴플레이스를 살펴보겠습니다. 1. 강변효성해링턴플레이스 입지 정보 입지나 주변환경에 대해서는 아래 글과 유튜브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 입지 정보 : https://blog.naver.com/megi101023/222403929509 - 관련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watch?v=c56DmGiGdYM 2. 적정 가격이란 무..

부동산 2024.03.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