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find fulfilling work

쳇바퀴 같은 일터에서 벗어나는 법과 삶에서 성취감을 얻으며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여정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01

[나이스정보통신] 23년 3월 분할매수매도 투자현황 및 수익률 리뷰

분할매수 분할매도 방법을 공부하고 첫 투자로 나이스정보통신을 선택했습니다. 나이스정보통신에 대한 투자포인트와 스플릿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저평가' 여부를 확인하고 3월 한 달간 투자 현황 및 수익률을 리뷰하겠습니다. 투자포인트 1) 오프라인 소비 증가로 실적 개선세 지속 → 최근 경기 둔화로 성장세 둔화 - 하반기로 갈수록 내수 경기 반등 예상 (정부 내수경기 부양 정책, 금리 완화 등) 2) VAN MS 증가 (22년 4분기 기준 27% ※ 2017년 18% 대비 9%p 상승) 3) PG MS 18.5%로 안정적인 3위 안착 (최근 토스가 공격적인 진출 중) 4) 외국인 관광객 유입 정상화로 TRS 사업부 (Tax refund) 실적 개선 기대 5) 애플페이 도입에 따른 단말기 교체 시 중소형 VAN..

[분할매수 분할매도 투자] 스플릿 투자 시작 이유와 매커니즘

오늘은 박성현 작가(경제적 자유를 찾아서)의 세븐 스플릿 투자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 왜 이 투자법을 시작하게 되었는지 이유를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제일 아래 7줄 결론 있음) 스플릿 투자 시작 이유 너무나도 유명한 투자의 현인 워렌 버핏의 투자 원칙은 Rule No.1 Don't lose money, Rule No 2. Remember the rule No. 1입니다. 이 의미는 투자는 결국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가 중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자산을 사는 순간 리스크에 노출되는 것이고 거의 리스크를 매매한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주식을 매수하면 주가가 하락할 리스크와 하락 후 다시 매수단가에 도달하는 underwater period를 견뎌야 하는 리스크가 발생합니다(변동성). ..

[간접투자/투자자문앱] 23년 3월 리밸런싱 및 수익률 리뷰 (6차 리밸런싱)

안녕하세요 오늘은 패스파인더 맥시멈 23년 3월 6차 리밸런싱에 대해 리뷰 하겠습니다. 23년 3월 수익률은 -10.1%이며 2월 수익률 -8.8% 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23년 3월 리밸런싱 주식시장 리뷰 2/17 ~ 3/14 1. 해당 기간 동안 S&P500은 -4.04%, 나스닥은 -3.53% 하락했음. 미국의 주요 지수는 최근 한 달간 하락 추세임 (패스파인더 맥시멈은 -1.3%) 2. 미국 연준(Fed)의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실리콘벨리은행(SVB)를 비롯한 은행권 파산 우려가 확대되며 금융시장의 혼란이 가중되었음 (같은 기간 S&P500 금융업 지수는 -11%) 3. 추가적으로 시그니처 은행, 크레딧 스위스와 같은 다른 은행/금융기관의 파산이 이어지면서 시장의 불안감 증폭 4. 뱅크..

간접투자 2023.03.23

[간접투자/투자자문앱] 23년 2월 리밸런싱 및 수익률 리뷰 (5차 리밸런싱)

안녕하세요 오늘은 패스파인더 맥시멈 23년 2월 5차 리밸런싱에 대해 리뷰하겠습니다. 23년 2월 수익률은 -8.8% 이며 지난 22년 12월 4차 리밸런싱 때 수익률 -10.1%때 대비 소폭 상승했습니다. 23년 2월 리밸런싱 리포트 주식시장 리뷰 1/18 ~ 2/14 1. 해당 기간 동안 S&P는 3.97%, 나스닥은 8.79% 상승했음 (패스파인더 맥시멈은 -1% 내외) ​ 2. 1월 FOMC에서 파월 연준 의장이 '디스인플레이션 (물가 상승이 둔화된다)'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연준의 긴축정책으로 낙폭이 컸던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큰 폭의 반등을 하였음 ​ 3. 그러나 1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4%을 기록하며 예상치(6.2%)를 뛰어넘었고, 실업률은 3.4%로 196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

간접투자 2023.03.23

[간접투자/투자자문앱] 22년 12월 리밸런싱 및 수익률 리뷰 (4차 리밸런싱)

안녕하세요 오늘은 패스파인더 맥시멈 12월 4차 리밸런싱에 대해서 리뷰하겠습니다. 이번 리밸런싱의 주요 원인은 원자재 ETF 원천징수 대응입니다. 12월 리밸런싱 리포트 주식시장 리뷰 22년 11/17~12/14 1. 해당 기간 S&P500는 -1.84%, 나스닥은 -4.16% 을 기록하며 숨 고르는 모습 (패스파인더 맥시멈은 +1.19%) 2. 인플레이션이 고점에서 하락하는 조짐이 나타났음에도 고강도 긴축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으로 주가 하락. 연준 의장은 "물가 상승률이 연준 목표치인 2%까지 내려간다고 확신할 때 까지 금리 인하 고려 않을 것"이라고 언급함 - 미국 1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7.1% 기록, 시장 기대치를 2개월 연속 하회 리밸런싱 및 수익률 테이블 ○ 패스파인더 맥..

간접투자 2023.03.23

[간접투자/투자자문앱] 22년 11월 리밸런싱 및 수익률 리뷰 (3차 리밸런싱)

안녕하세요 오늘은 패스파인더 맥시멈 11월 리밸런싱에 대해서 리뷰하려고 합니다. 올해 4월에 출시한 패스파인더 맥시멈은 5월, 8월, 11월 총 세 번의 리밸런싱이 이루어졌습니다. 5월 리밸런싱에 대해서는 다뤘었는데 8월 리밸런싱이 있을 때에 바쁜 일이 있어서 다루지 못하였습니다. 8월을 한번 건너뛰고 11월 리밸런싱을 체크하려다 보니 시간이 많이 걸렸네요... 역시 빠지지 않고 꾸준히 하는 것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ㅠㅠ 8월 리밸런싱 리포트 ○ 8월 리밸런싱은 SPLG(S&P500), FDIS(소비재), FHLC(헬스케어)를 편출하고 XLE(에너지)를 편입했습니다 (수익, 손실 확정) - SPLG(S&P500) : +8.5% - FDIS(소비재) : -1.2% - FHLC(헬스케어) : -9.5% ▽ ..

간접투자 2023.03.23

[간접투자/투자자문앱] 22년 5월 리밸런싱 및 수익률 리뷰 (1차 리밸런싱)

22년 5월 20일 불릴레오 리밸런싱 리포트가 나왔고, 리밸런싱 대상에 '패스파인더 맥시멈'이 포함되었습니다. (패스파인더 1호는 두 달 연속으로 리밸런싱 대상에서 빠져있습니다. 물론 이미 보수적인 포트로 구성되어 있어 변경이 필요 없겠지만.... 시장보다는 덜 맞았다는 걸로 위안 삼아야할까요...ㅠㅠ) 2022년 5월 불릴레오 리밸런싱 리포트 2022년 5월 (4월 18일 ~ 5월 16일) 불릴레오 리밸런싱 리포트 ▷ 최근 한 달, 미국 주식시장은?

간접투자 2023.03.22

[간접투자/불릴레오] 패스파인더 맥시멈 투자시작! (간접투자 결정 이유)

불릴레오에서 22년 4월 8일에 신규 시나리오가 출시되었습니다. 이번 시나리오는 두물머리 자체 '패스파인더 AI 엔진'을 활용하여 투자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활용한다고 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하단에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글 구성] 1. 간접투자(불릴레오) 투자 결정 이유 2. 패스파인더 맥시멈 리뷰 - 간접투자(불릴레오) 투자 결정 이유 1. 향후 미래를 위한 경험 쌓기 - 자산이 많이 쌓였을 때, 두물머리를 믿고 내 자산을 투자할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 해결 - 과연 두물머리의 시나리오 대로 연 10% 수익을 낼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 해결 ​ 2. 내가 목표로 하는 연 10% 수익률 ​ 3. 자산 배분 투자를 공부중인데 전문가들의 자산 배분 및 운용방식을 배우기 위해서 - 시장에 여러 자문사가 ..

간접투자 2023.03.22

[퀀트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별 백테스트/종목 추출 방법 (테일러, 퀀터스)

개인이 스스로 코딩을 통한 퀀트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면 퀀트 투자를 준비하다 보면 여러 가지 퀀트 소프트웨어를 접하게 됩니다. 저는 테일러와 퀀터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같은 팩터를 넣고 백테스트 / 종목 추출을 하더라도 두 소프트웨어 간 추출되는 종목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두 소프트웨어에 PER 팩터만 입력하고 종목을 30개 추출할 경우 단 5개만 겹치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퀀트에 관심 있고 여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고민하고 있는 사항인 것 같고, 이에 퀀터스 공식 카페에도 문의가 올라와 있습니다(퀀터스 공식 카페 FAQ 캡처). 공식 카페의 답변은 소프트웨어 제작자 별로 조건들이 다르기 때문에 다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1) 데이터 자체 2) 리밸런싱 날짜 3)..

퀀트투자 2023.03.18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어떤 전략이 좋았을까? 두 번째

지난 포스팅에서 테일러에 있는 스코어 전략을 살펴보고 '드레먼 역발상 스코어', '성장 가치 스코어' 전략 중 시가총액이 낮은 순으로 종목 선정하여 투자하면 성과가 좋을 것 같다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어떤 전략이 좋았을까? 두물머리 천영록대표님이 '앞으로 5년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라는 세미나를 2022년 10월~11월에 진행했었습니다. 그 내용에 대해서 블로그에 글을 쓸지 모르겠지만, 투자 방법 차원에서 요약하면 greentresure.com ​ 포스팅하고 나서 생각해 보니 종목을 추출한 이후에 시가총액 낮은 순으로 종목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Factor에 시가총액 기준이 있으니 초기부터 시가총액 기준을 추가하여 종목 선정하는 것이 좋겠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존 : 스코어 ..

퀀트투자 2023.03.18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