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은 금융상품과 엮여지면서 통화량과 유동성의 영향을 받는 자산이 되었습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전세 대출이 생긴 2013년부터 더욱어 금융의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M2 (광의통화)는 지금까지 계속 상승했는데 (2023년 4, 5월 소폭감소), 이에 맞춰 서울의 매매가도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거의 큰 통화량의 조정이 없었던 한국과는 달리 미국의 경우 코로나 이후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어느정도 조정을 했다가 다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이번엔 M2의 감소 시나리오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M2 감소 시나리오 통화 긴축 정책: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는 경우, 통화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경제 활동 위축: 경기 침체로 인해 기업..